직원 식당에서 조리사로 일하는 47세 여성이 수개월 전부터 숨이 조금씩 차고 기침이 나더니 피가 섞인 가래가 나와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한 결과 폐암 진단을 받았다. 이 여성은 담배를 피운 적이 없고 가족 중에서 흡연자가 없어 폐암 진단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2020년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샘암, 폐암, 대장암 순이었다. 남자는 폐암, 위암, 전립선암, 대장암 순이었고, 여자는 유방암, 갑상샘암, 대장암,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2021년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암 사망률은 폐암, 간암, 대장암 순으로 높았다. 남자는 인구 10만명당 폐암 54.5명, 간암 29.4명, 대장암 19.6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던 반면에, 여자는 폐암 19.2명, 대장암 15.4명, 췌장암 12.9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폐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은 흡연인데, 한국 성인의 흡연율은 2020년 현재 20.6%이고, 남자 34.0%, 여자 6.6%로 성별 차이가 매우 크다. 그렇다면 흡연율이 매우 낮은 여성에서도 폐암 사망률이 암 중에서 1위인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폐암연구재단의 자료에 따르면, 여성 17명 중 한 명에게서 일생 중 폐암이 발생하며, 흡연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하지만 여성 폐암 환자의 20%는 비흡연자이며, 비흡연자에서 폐암 발생 위험은 여성이 남성의 2배나 된다고 한다. 여성 흡연율이 낮은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폐암 환자의 80~90%가 비흡연자이다.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여성 1만4000명을 대상으로 한 비흡연 여성 폐암 연구 결과에서는 특정 유전자 변이가 동아시아 비흡연 여성의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유전자 변이가 동아시아 여성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을 때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대한폐암학회가 비흡연 여성 폐암 환자 226명과 비환자군인 대조군 76명을 대상으로 주방환경, 간접흡연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폐암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요리할 때 주방 내 연기가 심한 경우가 많았고, 요리 시 식용유를 4일 이상 사용한 때도 더 많았다.
기존 연구를 종합해보면 조리 시 연기로 인한 폐암 위험은 1.6~3.3배이며, 간접흡연도 폐암 위험을 약 2배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내 공기 오염은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 가스와 미세먼지, 벤조피렌,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환기를 잘하지 않고 조리하거나 조리 과정에서 연기나 그을음이 나오는 경우 더 고농도의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 이 중 미세먼지, 벤조피렌, 포름알데히드는 잘 알려진 발암물질이므로 흡연과 마찬가지로 장기간 노출되면 폐암을 유발할 수 있다.